Flutter를 이용한 첫번째 습작앱 출시

2020. 8. 27. 05:27APP/랭킹구구단

앱 개발 배경

앱이라고 부르기엔 민망한 첫번째 Flutter 앱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게시되었습니다.

저는 평범한 직장인으로 미래에 대한 고민을 하다가 개발할때 가장 즐겁게 하는 저 자신을 봤을때 앱개발을 해보자는 마음이 생겼습니다.

아내와 함께 쓰는 앱을 개발해 보려고 구상해보던중 이제 초등학교에 들어간 아이들이 구구단 공부를 안하는 것을 보고 기록을 남기는 어플을 한번 만들어 보자. 어렵지 않을테니 첫 도전으로 해보자 라는 마음으로 만들었습니다.

 

어떤 앱인가?

초기 실행화면

앱 이름 : 스피드구구단

 

이앱은 매우 간단합니다.

최대 9개의 문제를 풀기만 하면 됩니다.

2단부터 9단까지 풀고 싶은 단수를 선택하고 답을 맞추면 걸린시간을 기록합니다.

아이들의 게임 성향을 이용하여 각 단별, 유형별 기록을 남겨서 이용자간 서로 비교하게 해두었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2020년 8월 27일 새벽 4시경 자다 깨서 앱이 출시된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동작합니다.

 

기록 이미지

그러면 위 그림과 같이 순서대로 했는지 섞어서 했는지 다양한 기준으로 순위를 표기해줍니다.

그리고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새로운 앱에 광고를 붙여볼 생각으로 본 앱에도 실험삼아 기록보는 페이지에만 광고를 붙여봤습니다.

 

어떻게 만들었나

본앱은 네이티브 개발을 해본적이 없는 제가 Flutter 라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만들었습니다.

React Native 와 많이 비교해봤는데요. 일단 속도가 좀더 빠르다는 평가가 있었고 Dart 가 그렇게 생소한 느낌이 아니었습니다. 기존에 많이 해봤던 C# 과 유사한 느낌이 많았고 잘은 못하지만 Javascript 를 하면서 익혔던 몇가지 문법들 개념들을 조합하여 조금씩 학습을 하면서 만들었습니다.

 

총 개발 기간은... 3일정도 퇴근 후 집에서 2시간정도 주말 약 이틀동안 4시간정도씩 투자한듯합니다.

총 24시간은 안걸린것 같네요. 개발시간보다 개발하려고 출퇴근길 자료 찾아보고 머리로 구상하고.. 이시간이 더 길었던것 같네요

실제 개발에 투자한 시간은 얼마안되구요 기간으로는 약 일주일 걸렸나 봅니다.

 

장비는 5년된 제 맥북프로를 활용하였고 VSCODE 로 했습니다. 간간히 소스가 꼬이거나 할때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하면 좀더 구체적인 메세지가 나와서 병행하였습니다.

 

점수 저장은 구글 Firestore 를 이용했습니다. 광고 또한 구글의 Admob 을 이용했습니다.

 

  • 개발기간 약 1주일 (실 투자공수는 24M/H 이하)
  • Flutter 이용
  • 서버는 Google Firebase 의 Firestore 이용

정리하면 이정도 인것 같고 더 언급할 것도 없네요.

 

출시 여정

처음으로 올려본 앱이다 보니 기록용으로 출시한 내용을 남겨두려고 합니다.

앱을 다 만들고 플레이 스토어에 올리는 것이 매우 생소했습니다. 먼가 빨리 결과를 보고 싶은 급한 성격에 참 답답했어요.

간략하게 정리하면

  • 안드로이드 앱은 APK로 빌드해도 되지만 AAB로 (번들) 만들면 더 편하다.
    • 디바이스 종류에 맞게 나눠주고 앱 크기까지 줄여준다네요
  • 인증서관리를 구글이 해준다.
    • 이 개념이 초반에 좀 햇갈렸는데 출시를 위해서는 앱마다 서명이 필요한데 그 인증서를 과거에는 개발자가 관리했지만 지금은 구굴이 관리하는 옵션이 있다고 합니다. 저는 스토어에 올릴때 내가 만든 앱이 맞다는 업로드용 인증서만 사용하면 됩니다. 그럼 구글이 알아서 업로드용 인증서 서명 풀고 배포용 서명을 넣어줍니다.
  •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대충 쓰면 안된다.
    • 본 앱은 개인정보가 없습니다. 제가 그동안 알고 있던 개인정보는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보호법과 같은 것들입니다. 주민번호와 같은 유일한 식별이 가능한 정보 또는 2가지 이상 조합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이런것들이죠.
    • 그래서 필수로 작성해야하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대충 작성했습니다. 대충이랄것이.. 개인정보가 없으니까요. 그래서 처음에 승인 거부 되었고 다시 꼼꼼하게 작성했더니 하루만에 통과되었어요
    • 구글이 말하는 개인정보처리방식은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앱이 다루는 정보 전체를 말하는 듯 합니다. 저는 서버에 저장되는 모든 데이터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개인정보처리방침은 Google Site 를 이용했다.
  • 앱 개발하려면 25$가 필요하다.
  • 심사는 현 시점 기준 워킹데이 약 3일정도 걸린다. 재심사는 1일정도 였다.
  • 처음 심사 통과하면 스토어에 바로 검색이 안된다.

 

다운로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app.gglab.gugudan 

 

스피드구구단 - Google Play 앱

* 2~9단의 각 구구단을 순서대로 또는 랜덤하게 입력하여 풀이 시간을 기록 * 각 단별 시간을 모든 앱 사용자와 공유하여 게임하듯 암기

play.google.com

다운로드는 위 링크에서 해볼수 있습니다. 아직 검색은 안되는 군요

 

 

앞으로 할것

본 앱은 앞으로 업데이트를 적극적으로 할 생각은 없습니다. 말그대로 습작이니까요.

이정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학습차원입니다.

  • 글로벌 언어 적용 및 플레이 스토어에서 다국어 및 국가 출시

두가지정도 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플레이스토어에만 올라가 있는데요. 아이폰쪽에는 바로 올리지 않을 생각입니다.

개발자 계정이... 습작으로 생각하기엔 너무 비싸네요.. 제 용돈으로 만들기에는..너무..

차기작을 어느정도 마무리 하면 그때 계정을 구입하면서 올려볼까 싶습니다.

물론 다운로드는 거의 0에 수렴하겠지만 잘 돌아가고 광고도 다 나오는 것에 의미를 두고 나름의 성과로 남겨보려 합니다.

 

차기작은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에서 부부가 같이 쓰는 가계부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사실 여러번 시도해 봤는데 계속 작심삼일 이었어요. 이번에는 맘먹고 도전해보려구요.

집중하다보면 평일에도 몇시간 주말에도 몇시간씩 붙잡게 되는데 가정을 소홀히 할수가 없어서 생각보다 성과가 잘 안나와서..

그마저도 아내가 애들좀 보라고 쿠사리를 몇번 주다보니 계속 포기를 했었죠. 이번 앱을 만들때는 다행히 아무말 안해서.. 눈치 보면서 만들었어요.ㅋ

현재 화면 스케치 중입니다.

계획데로 될지는 모르겠는데 이런 느낌으로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디자이너가 아니다 보니 그림그리기가 쉽지 않네요. 느낌은 카카오 노란색으로 컨셉잡고 해보고 있습니다.. ㅋㅋ

그림그리는 툴도 카카오 오븐 이라는 시스템으로 해보고 있구요. 누가보면 카카오에서 만들었나? 할지도 모르겠군요

그러다 퀄리를 보고는 절래절래 하겠지요..ㅋㅋ

 

용돈 벌어볼려고 이시간에도 노력하는 가장, 엄마, 아빠 분들 화이팅입니다.

그럼 오늘도 열공해 보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