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6. 16. 14:48ㆍAPP/함쓰가계부
함쓰는 구글 광고를 붙여 만든 무료 앱입니다.
작년 11월 오픈하였으니 이제 8개월차네요.
처음 목표는 광고 수입이 교통비정도만 나오면 좋겠다. 했습니다.
올 3월에 월 광고 수입이 약 50$가 발생되었네요.
그 다음 4월에는 80$, 5월에는 130$, 의미있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0%이상의 성장세지만 둔화되겠지요. 가계부를 그렇게 많이 사용하지는 않을것 같거든요.
아무튼 오픈한지 8개월이 지나는동안 "유료화" 에 대한 요청이 꾸준하게 있어왔습니다.
광고를 보고 싶지 않은데 강제로 나오게 되니까요. 무척 거슬리시는것 같습니다.
사실 저도 최종 목적은 유료화로 두고 있습니다만.. 일반직장인이 사업자를 내는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
그만한 책임감을 갖추기 위해서는 서버도 증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든 언젠가는 해야할일 이제 광고 수익으로 어느정도 인프라에 투자할만한 실적이 나오는것 같아서
작게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함쓰는 오라클 프리티어 서버 2대를 무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성능은 아주 보잘것 없습니다. 그런데 현재 실사용자 1500명이 넘어가는 시점에서 CPU 나 RAM 사용량이 평소 30%를 넘기지 않습니다. 그만큼 함쓰의 데이터가 크지 않고 지속적이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는 앱이라는 뜻이겠죠.
현재 DB서버는 데이터만 2중으로 백업을 받습니다. WAS서버에 1차 백업, 제 개발 서버에 2차 백업합니다. 용량도 매우 작습니다.
그리고 WAS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특별한 백업은 없습니다. 크게 중요하지 않은 이유는 프로그램만 갖고 있으므로 언제든지 포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서비스의 연속성(가용성)을 위해서는 이중화는 해야 하는 부분이죠.
장애 났는데 서버 구축하고 있을순 없죠. 그나마 Docker 를 이용하므로 컨테이너만 빨리 올리면 복구는 어렵지 않을 듯 합니다.
수익화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이중화 구성을 하려고 합니다.
생각중인 인프라는 이렇습니다.
L4 로드밸런서 - WAS 2대 - Pgpool DB 이중화 - Postgresql 2대
이렇게 생각중입니다.
저에게는 처음 앱을 런칭 할때만큼 큰 도전이 될 듯합니다.
인프라 전문가가 아니고 전부 처음 해보는 것들이거든요.
우선 클라우드 VPC 제공 업체를 선정해야 하는데 고민입니다.
오라클 무료가 꽤나 마음에 듭니다. 함쓰 수준에서는 성능도 부족하지 않습니다. 최소 사양인데도요.
그래서 유료로 전환하고 서버를 추가할까 했는데... 아. 이게 레퍼런스가 너무 없어서 확인이 어렵고 홈페이지가 저에게는 너무 복잡해 보입니다. 자기들 스스로는 타사 대비 몇프로가 비용절감된다고 광고하는데.. 어떻게 다른지 확인을 할 방법이 없습니다.
Price 페이지라고 해서 들어가면 저에게는 너무 복잡한 계산처럼 보이더군요. 그리고 저는 가장 싼 서버로 이중화를 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보이지 않고.. 암튼 좀 나중에 어려질듯 해서 배제 하였습니다. 프리티어는 다른 용도로 계속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제 나머지 중에 열심히 찾아보다가. 아마존 Lightsaile 과 vultr 을 후보로 두고 있습니다.
명성은 아마존이 나은것 같은데 비교해보면 비슷한 서버와 가격인데 vultr 이 약간더 저렵해 보입니다. 한국리전도 있어서 속도 문제도 없을듯하구요.
이제부터는 vultr 을 이용한 상기 구성을 나중에 저를 위해서 블로그에 기록으로 남기려고 합니다.
이게 끝나고 나면 데이터 베이스 이관까지 갈길이 머네요^^;
'APP > 함쓰가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푸시 인식 기능개발 (124) | 2021.03.23 |
---|---|
함쓰 1.1.1 안드로이드 테스트 버전 승인(문자 자동 인식) (0) | 2021.03.11 |
함쓰 업데이트 1.1.1 안드로이드 문자 자동 인식 (0) | 2021.03.10 |
함쓰 업데이트 1.1.0 통계 기준일 설정, 사용자별 통계 보기 (2) | 2021.02.22 |
고정금액 누락 안내 및 신규 업데이트 1.0.9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