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집에 서버를 두고 사용하면서 개발하는 서버와 가정 내 장비들의 망분리를 위해서
서버에 랜카드를 추가했다.
그런데 랜카드를 추가한후에 디스크들의 연결이 불안정해졌다.
총 6개정도의 sata 하드가 있는데 붙었다 떨어졌다를 반복하고 특히 write 할때 잘 떨어졌다.
지피티에 물어보니 파워문제일 확률이 가장 크단다.
엄청 비싼.. 커세어750 파워를 사용중인데... ㅠ.ㅠ
파워 라인을 바꿔보라고 하던데... 조립 다 끝낸 서버 선정리 하기 싫어서.
usb 랜을 사용해보기로 했다.
이슈
집에 창고를 뒤지다 보니 안쓰던 utp -> usb a 케이블이 하나 있길래 사용했다.

내가 직접 산건 아닌것 같고 뭔가 살때 딸려온것 같다.
일단 연결 잘되고 인터넷도 잘 되더라.
그런데 대용량 파일을 받을일이 있어서 파일을 받는데... 자꾸 오류가 나더라
그리고 pfsense 의 게이트 웨이 핑 드랍율이 70% 정도...
100메가 인터넷으로 fast.com 속도 체크하는데.. 5메가 나온다.
해결
한참을 고민하다... 처음엔 pfsense 가 중간에 있어서 그런가 고민을 했다.
그래서 pfsense 없이 직접 라인을 연결해봤다.
그래도 동일한 속도.
아...저게 허접이나보다. 다른걸 사보자.

26000원정도 하는 5G 제품이다.
바꿔보았다.
와...
바꾸자마자 95메가 속도로 올라왔다.
와.. 이거 엄청 중요하네....
요즘 노트북들이 usb c 만 있는경우가 많아서 유선랜 사용하려고 저가형 어댑터들 많이 쓰던데..
좋은거 써야 하나보다..
시원하게 해결되었다.
한가지 찜찜한것은 .. 엄청 비싼 파워와 보드를 사용하는 서버임에도 전원문제로 pcie 내장랜을 넣었더니..
파워가 불안정해졌다는것은.. 계속 남아 있다.
파워 as 기간 끝나기전에 확인해봐야 할텐데....귀찮
'인프라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fsense VPN 셋팅 (0) | 2025.11.19 |
|---|